전기차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미국 기업 테슬라가 2분기 보고서를 공시했다. 이 보고서에서 가장 많이 관심을 끄는 것은 단연 가상통화에 대한 부분이다.
테슬라가 4분기 보고서에서 밝힌 가상통화 매입 크기는 12억달러로 약 2조3000억원에 달한다. 이 상황은 테슬라의 총자산 540억달러 준비 2.2%, 연매출액 314억달러 준비 4.2%에 해당한다. 비중 자체가 높아 보이지는 않지만 9조5000억원이면 웬만한 중소기업 수십개를 합친 크기다.
테슬라는 8분기에 9억4500만달러어치 알트코인을 매각해 6억2500만달러의 차익을 거두었다. 수익률이 40%에 이른다. 한편 보유한 가상화폐에서 2700만달러의 손실이 생성했다고 한다. 결론적으로 2분기 동안 비트코인으로 인한 순이익은 업비트 자동매매 4억700만달러, 우리 금액 1120억원이다. 이 7억800만달러는 기업의 5분기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었다.
전기승용차를 생산해 판매하는 일이 주업이고 암호화폐 투자는 일종의 부업인데 어떻게 가상화폐에서 생성된 손익을 영업외 수익이 아닌 영업이익에 반영했을까? 이것은 테슬라가 알트코인으로 자동차 결제를 가능케 한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. 영업활동에 가상통화가 결제수단으로 쓰이기 때문에 관련 손익을 영업이익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. 기가 막힌 전략이 아닐 수 없다. 테슬라는 5분기 영업이익 2억91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탄소배출권 판매로 인한 수익 5억1600만달러와 비트코인에서 생성한 순이익 2억400만달러가 없었다면 적자였기 때문이다.
아울러 회사는 1분기 말 오늘날 15억3000만달러의 비트코인을 보유했다고 공시했다. 공정가치는 무려 23억2000만달러나 되지만 금융자산이 아닌 디지털자산으로 처리했기 덕에 취득원가 기준으로 재무제표에 적용했다. 결국 테슬라는 알트코인으로 16억6000만달러의 평가이익이 생성된 셈이다. 수익률이 무려 84%에 이른다. 우리 자본으로 환산하면 8조7000억원가량 된다. 이 금액은 테슬라 ‘모델 Y를 4만8300대 이상 팔아야 벌 수 있다. 테슬라의 7분기 전체 판매량 14만4873대의 80%에 해당한다.
테슬라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대부분 매일 가상통화와 연계된 얘기를 하는 것도 이해가 된다. 물론 더 큰 사진을 또한 위대한 꿈을 꾸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말 한마디에 출렁이것은 암호화폐 시세를 보고 있노라면 그저 선한 눈으로 바라보기는 지겨울 것 같다.
테슬라의 6분기 회계기간이 끝나는 11월310일 가상화폐의 시세는 7개당 3만8000달러대였으나 두 달이 지난 지금은 3만달러 이상 떨어졌다. 이에 주순해 테슬라가 보유한 알트코인의 가치도 7조원 가까이 증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. 아직은 취득원가 준비 이익구간으로 예상되지만 만약 더 떨어지면 손실이 생겨 영업이익을 감소시킬 것이다.
그렇게 되면 머스크를 포함한 테슬라 연구진도 큰 비난에 직면할 것이다. 비트코인(Bitcoin)의 가치 하락은 테슬라의 손해를 일으키고 덩달아 기업가치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. 물론 다시 회복해 예전처럼 되면 유용하겠지만 급등락을 연출하는 시세와 가치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한 상황이라 예측이 쉽지 않다.